영리, 비영리, 공공기관 등 다양한 조직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정의하고, 해당 가치가 창출하는 사회성과를 측정
사회 구성원들간에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확산
각 조직별 특성을 반영한 사회적 가치 정의 및 성과 측정지표 발굴 사회성과 측정기준에 대한 투명성 및 신뢰성 확보 측정 대상조직 대/내외 이해관계자들과 효과적 의사소통 강화
협동조합, 사단법인, 등 비영리조직 사회적기업, 소셜벤처 등 하이브리드 조직 주식회사 등 영리기업 공기업 및 정부지원기관 등 공공기관
이해관계자 편익/비용 기준 회계원칙 - 이해관계자 계정에서 발생한 편의과 비용을 측정 준거시장 기준의 원칙 - 시장가격 추정을 통한 화폐가치 환산을 원칙 보수성 원칙 - 명확한 기준값(proxy)을 누구나 합의할 수 있는 기준을 적용
사회성과 = 사회적 편익(Social Benefit) - 사회적 비용(Social Cost)
시장기준(10만원) - 8만원 : Social Benefit , 12만원 : 사회적 비용 아님
자체기준(80%) - 90% : Social Benefit , 70% : Social Cost
법적기준(0건) - Social Benefit 불인정 , 벌금 100만원 : Social Cost
사회문제와 관련되지 않은 일반 소비자 후생으로 판단, 성과로 인정하지 않음
사회성과회계기준 개정 연구지원 - 기업회계기준내 사회성과 인식 연구 지원
소셜벤처 사회성과 측정 및 기업가치평가 기준 연구 지원 - Social Venture의 기업가치평가(미래가치) 및 사회성과 예측(projection) 방법론 연구
공공기관 사회적 가치 평가 방법론 개발 협력 - 공기업 및 정부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과 사회적 가치 평가 및 성과측정을 위한 방법론 개발 협력